목록백엔드 (3)
develog

이번 포스팅에선 이미 HTTP로 배포되어 있는 서버에 HTTPS를 적용시킬 것이다. 현재 도메인이 연결되어있어야한다. 1. 인증서 발급 AWS ACM에서 인증서를 발급받자. 인증서 요청 버튼을 눌러 인증서를 받으러 가보자. 퍼블릭 인증서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누르면 된다. 자신의 도메인을 입력하면 된다. Route53에서 생성해준 A레코드 형식대로 추가해주면 된다. 필자는 A레코드를 googoo.blog로 열어줬으므로 googoo.blog로 입력했다. 검증 방법은 DNS 검증 방법을 권장하고 있다. 빠르게 검증하고 싶다면 이메일 검증을 진행해도 무방하다. 필자는 DNS 검증 방식을 선택하겠다. 필자는 googoo.blog에 대한 인증서가 발급되었다. 인증서에 들어가서 Route 53에서 레코드 생성 버..

이전 포스팅에서 Node 서버를 AWS EC2에 배포하고, 이를 확인해보는 것까지 진행하였다. 이 글을 시작하기 전에, http://{자신의 IP}:{자신의 port}를 했을 때, 원하는 값이 출력되는 상태여야한다. 1. 도메인 구매 필자는 원하는 도메인이 googoo.blog이다. 가비아, AWS Route53, Google domain 등등 도메인 구매처는 많다. 필자는 그 중 googoo.blog 가격이 가장 싼 호스팅케이알을 이용했다. 구매 과정은 어느 서비스를 이용하는지에 따라 다르므로 생략하겠다. 구매까지는 어렵지 않을 것이다. 2. AWS Route53에 도메인 연결 필수적인 작업은 아니다. 각자의 도메인 사이트에서 직접 인스턴스와 연결시켜줘도 무방하다. 하지만 https를 연결시킬 때, A..

이 글은 2022.02.02를 기준으로 쓰인 글입니다. 필자는 MAC을 사용중입니다. 만약 EC2에 노드 서버가 이미 HTTP로 배포 되어있다면 이 파트를 건너뛰어도 된다. 여기서 설명했듯이, HTTPS를 적용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필자는 이 방법들 중에서 AWS EC2, AWS Route53, AWS 로드밸런서, AWS ACM을 이용하여 HTTPS를 적용해보겠다. (이 외의 방식에 질문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질문해도 괜찮습니다.) Node 서버를 EC2에 배포하기 필자는 아래와 같은 Express 서버를 띄울 것이다.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const PORT = 8080; function handleListen ..